영암군 통합돌봄 실태조사…“응급대응·이동지원 시급”

노인·장애인 70% 면지역 거주…농촌형 돌봄체계 구축 시급
1인 가구 비율 노인 69.7%, 장애인 48%…돌봄 공백 우려

선호성 기자 opennews@openmedia.co.kr
2025년 02월 14일(금) 13:47

영암군이 추진 중인 ‘영암형 통합돌봄 모델’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에서 응급상황 대응체계와 이동지원 서비스 확충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영암군은 지난 6일 가야금산조기념관에서 ‘영암형 통합돌봄 체계 구축 실태조사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전남사회서비스원이 수행한 이번 조사는 75세 이상 노인 317명과 등록장애인 33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응급상황 대응·이동지원 ‘최우선 과제’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응급상황 발생 시 구조연계 지원’을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서비스로 꼽았다. 노인의 경우 이어서 이동지원 서비스, 가족 부재 시 돌봄서비스, 정기적 안부 확인 순으로 수요가 높았다. 장애인들은 주기적 건강검진, 이동지원, 주기적 치과 치료, 맞춤형 영양지원 등을 주요 필요 서비스로 들었다.

특히 조사대상 노인의 75.1%, 장애인의 62.8%가 면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비율도 노인 69.7%, 장애인 48%로 매우 높았다. 면 지역 거주자들의 경우 대중교통 부족과 택시비 부담으로 병원 방문이나 장보기 등 기본적인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 노인 실태조사 주요 결과


만성질환 관리·건강지원 체계화 필요

실태조사에서는 만성질환 보유 노인과 장애인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약물 복용과 만성질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생활지원사들은 “약물 관리 지원에 한계가 있어 전문적인 방문 보건의료 서비스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심층면접에 참여한 돌봄 대상자들은 이동 문제, 비용 부담, 정보 부족으로 인해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낮다고 호소했다. 정신건강 관련 치료 접근성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장애인 실태조사 주요 결과


스마트 돌봄으로 농촌형 안전망 구축한다

영암군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4대 추진 전략을 수립했다. ▲지역기반 돌봄 강화 ▲돌봄 사각지대 없는 안전망 구축 ▲디지털&스마트 돌봄시스템 도입 ▲지역사회 계속 거주 지원이 그것이다.

핵심적으로는 24시간 대응 가능한 통합관제센터를 운영하여 보건소, 119, 경찰, 민간기관이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이장, 통장,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는 마을 돌봄 지킴이 제도를 도입해 지역 특성에 맞는 돌봄 네트워크를 만들어간다.

방문 의료·방문 요양 서비스 강화, 방문 재활 및 운동 지도 서비스, AI 돌봄 로봇 활용, 원격의료 서비스 등도 추진된다. 특히 통합사례관리 거점 시스템을 운영해 복지·보건·의료·주거 서비스를 통합 제공할 계획이다.

영암군은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번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통합돌봄추진단 돌봄정책팀 진한겸 팀장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특성을 반영한 영암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선호성 기자 opennews@openmedia.co.kr
이 기사는 영암열린신문 홈페이지(openmedia.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openmedia.co.kr/article.php?aid=3114447332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14일 19:52:26